1회차 주제: 자기소개
그날은 여느 때와 같은 알반 엘베드였다.
다시 말해, 리온은 무언가를 잔뜩 쌓아둔 채 읽고, 톨비쉬는 그런 리온을 가만히 지켜보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리온을 아는 사람이라면 이 조용한 광경에 놀랄지도 모르지만, 톨비쉬와 함께 있을 때의 리온은 대개 말없이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누군가는 이 장면을 상상하면 늘 밀레시안들 사이에서 떠들썩하게 보내던 사람이라곤 상상도 못 할 만큼 차분한 모습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가 가져온 책은 대개 소위 장르소설이라고 불리는 책이나 요리 등의 입문용 실용서이므로, 딱히 차분한 모습도 아니었다. 오히려 책을 읽는 리온의 모습은 꽤 변화무쌍해서, 흥미로운 내용이 나오면 허리를 세우거나 납득이 안 되는 내용에 눈살을 찌푸리는 둥 차분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물론 그가 독서의 정의를 ‘스킬을 익히기 위해 책을 눈으로 훑어본 뒤 버리는 것’이라고 잘못 아는 게 아닌지 의심되는 밀레시안의 일원임을 고려하면, 앉아서 끝까지 책 한 권을 읽는다는 것 자체가 퍽 신기한 광경이겠지만.
톨비쉬에겐 다행스럽게도 리온은 가만히 책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간혹 리온은 ‘아무리 나가서 데이트도 못 한다지만 이건 너무 건조한가?’라고 민망해하면서 책의 내용 따위의 화제로 톨비쉬에게 이런저런 말을 걸곤 했다.
다만, 리온의 걱정과 달리 톨비쉬는 책을 읽는 리온을 지켜보는 것이 꽤 좋아서 딱히 그 고요한 시간에 불만은 없었다. 책을 보는 리온의 사소한 모습들은 오직 그가 홀로 있다고 믿을 때만 나오는 모습이기 때문이었다. 그런 모습을 최근에는 톨비쉬가 앞에 있어도 보여주기 시작했으므로, 톨비쉬는 오히려 그런 시간이 기뻤다.
심지어 리온이 보여주는 풀어진 모습은 그게 다가 아니었다.
지루해졌는지 책에 책갈피를 끼워버리곤 낮잠을 자자며 톨비쉬를 부르거나, 낮잠에서 막 깨어나서 부스스한 머리로 멍하게 앉아 있는 모습, 그 외의 수많은 모습이 오직 톨비쉬의 앞에서만 펼쳐졌다.
리온의 몰랐던 모습을 새롭게 알게 되는 것. 톨비쉬는 바로 그 점이 기꺼웠다.
그런 리온이 책이 아니라 서류처럼 보이는 어떤 종이 더미를 잔뜩 들고 와서 고민하며 읽고 있는 것은 톨비쉬에게 나쁜 징조였다. 제 고향과 에린을 오가는 리온은 고향에 무슨 일이 생기면 일이 해결될 때까진 한없이 그곳에 머무르곤 하고, 당연히 톨비쉬와의 데이트도 한없이 미뤄지기 때문이었다.
“으음…. 어렵다.” “제가 도울 일이 있습니까?”
톨비쉬가 조심스레 리온의 곁에 앉자 자연스럽게 톨비쉬의 품에 기댄 리온이 톨비쉬에서 서류를 보여주었다.
“이게 자기소개서라는 건데, 예전에 알던 학생들이 벌써 수험생이 되어선 좀 봐달라네? 근데 난 이런 거 처음이란 말이야. 봐도 다 내용이 비슷비슷해서 딱히 차이도 모르겠고. 어쩌지? 알반에 입단할 때도 이런 거 해?” “자기소개서. 스스로를 소개하는 서류겠군요. 알반의 입단에 필요한 일은 아닙니다만 완전히 낯선 개념도 아닙니다.”
서류를 가져온 이유가 예상보다 가벼운 것인 덕에 마음이 가벼워진 톨비쉬의 시선이 서류를 훑어내렸다. 단순히 서류를 볼 뿐인데도 그림같은 그 모습을 가만히 지켜본 리온이 서류로 시선을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