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가을


“아, 맞아. 톨비쉬! 우리가 마시는 물은 무슨 모양이게?”

장난기로 눈을 반짝이며 저를 올려다보며 웃는 연인을 보며, 톨비쉬의 얼굴에 자연스럽게 미소가 번졌다.

“글쎄요, 기준에 따라 다를 것 같군요. 본디 물에는 정형화된 형태가 없지만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담수에 한정한다면….”

“……. 동그라미야! 왜냐면 물이 넘어가는 목구멍이 동그라미니까! 그래서 우린 동그란 물만 먹고 있는 거래.”

잠시 미묘한 표정을 짓다가 방긋 웃으면서 냅다 자신이 원하는 대답을 내뱉는 그 당당함도 이젠 익숙해진 톨비쉬가 고개를 끄덕였다.

“확실히 물이 넘어가는 통로는 원기둥에 가까운 형태니까요. 물은 담긴 곳에 따라 그 모양을 달리 하니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 답변이기도 하고 철학적으로 꽤 흥미로운….”

“처음 그 말을 한 발화자의 의도는 철학적인 화두를 던지려던 것이 아닐거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나는 철학적 화두를 던지기보단 넌센스 퀴즈 내는 느낌으로 장난치고 싶었던 거고. 예를 들어, 내가 우리의 데이트는 알반 엘베드니까 나는 가을의 톨비쉬 밖에 모르는 거라고 한다고 해서 그게 알반 엘베드에만 만날 수 있을 만큼 바쁜 널 질책하는 내용인 건 아니잖아? 뭐, 알반 엘베드라곤 해도 에린은 계절에 따라 무언가가 변하는 것은 거의 못 봐서 가을의 정취나 가을다운 풍경 같은 건 없기도 하고.”

“굳이 예시로 들었단 점에서 이미 꽤 신경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만…. 뭐, 그건 그렇다고 치고. 절기에 따른 변화라…. 두갈드 아일에 생기는 버섯이 달라진다거나 꽤 이것저것 있지 않습니까.”

“그치만 봄에 꽃이 핀다거나 여름에 덥다거나 가을에 단풍이 든다거나 겨울에 춥다거나 하진 않잖아? 어디든 사철 비슷하지.”

뺨을 부풀리면서 제 의견을 펼치는 리온이고, 평소라면 톨비쉬도 그렇군요. 하고 넘어갔겠지만, 아버지가 빚은 에린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야기인 만큼 오늘은 톨비쉬도 순순히 물러설 마음은 없었다.

“땅에는 아튼 시미니님의 축복이 깃든 곡식들이 영글어 있고, 하늘의 빛을 받아 물은 아름답게 반짝이는데 어찌 아름답지 않겠습니까.”